◇CDN서비스의 부각배경
- UCC가 이슈화되면서, 단기간에 급속하게 집중되는 트래픽을 안전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 증대
◇CDN서비스의 개념
- 콘텐츠 제공업자(CP)의 웹 서버에 집중돼 있는 콘텐츠 중 용량이 크거나 사용자의 요구가 잦은 콘텐츠를 ISP측에 설치한 CDN 서버에 미리 저장, CDN 서버로부터 최적의 경로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전달하는 기술
- 동영상이나 음악 스트리밍, 파일 다운로드 등 대용량 파일 전송시 이용자가 몰려 전송 속도가 떨어질 때, 네트워크 주요 지점에 전용 서버를 설치해 두고 해당 콘텐츠를 미리 저장해 둡니다. 이후 이용자가 몰릴 때 가까운 곳의 서버가 이를 내보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CDN의 개념도
◇CDN서비스의 특징
- 일반적인 인터넷 구조에서는 콘텐츠는 CP의 서버로부터 ISP들의 백본 네트워크, IX(Internet exchange), 가입자망 등 복잡한 경로를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함
- CDN서비스는 콘텐츠 전송에 병목현상을 일으키는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인터넷 사용자의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콘텐츠를 전송하기 때문에 대용량 콘텐츠나 사용자가 일시에 폭증하는 경우에도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
- 용량이 크거나 사용자가 몰리는 콘텐츠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 측에 설치한 CDN 서버에 미리 저장해 최적의 경로로 사용자에게 전달
- 특정 ISP의 장애시에도 타 ISP에 설치된 CDN 서버를 통해 서비스가 가능
◇CDN 핵심기술
기술 |
내용 |
GLB(Global Load Balancing) |
인터넷 네트워크 여러 곳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여러 서버 중에서 이용자(End User)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선정해 서비스를 연결하는 기술 최상의 위치에 있는 서버에 장애가 일어났을 경우에도 차상위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서버로 우회 연결하여 장애를 해소 |
동기화(synchronization) |
콘텐츠 변경시 ISP별로 분산된 서버팜에 이를 즉각적으로 반영해, 사용자들이 한꺼번에 동일한 내용의 콘텐츠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 |
◇CDN서비스 유형
유형 |
특징 |
다운로드서비스 |
온라인 게임 설치파일, 패치파일, 네비게이션 프로그램화일 등 대용량 파일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송해 주는 서비스 사용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더라도 원활하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중요 온라인 게임 분야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게임파일 다운로드와 업그레이드, 새로운 환경을 추가하는 패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사용자가 몰려도 원활하게 지원 |
스트리밍서비스 |
온라인 교육, 영화 VOD, 인터넷방송, UCC, 실시간 인터넷중계 등 다양한 코덱 및 플랫폼별로 화면 끊김이나 버퍼링 없이 고화질의 스트리밍 서비스 영화관, 교육동영상, 상품광고 등의 VOD는 물론 TV방송, 운동경기, 콘서트 중계 등 생방송에까지 활용 |
캐싱 서비스 |
이미지가 많은 쇼핑몰, 포털, 게임, 검색 사이트 등 다수의 캐시서버를 이용한 트래픽 분산처리를 통해 웹사이트 로딩 속도를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 그래픽 이미지, 플래시 파일 등 웹 콘텐츠의 빠른 전송에 유용하고 이미지가 많은 쇼핑몰이나 포털, 게임, 검색 사이트에서 안정적인 이미지를 보여주게 하기 위해 이용 |
[출처] CDN(Content Delivery Networks)|작성자 박병태